세트켈란투스 카에룰레우스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- 1. 개요
- 2. 계통 분류
- 2.1. 십자화목 내 과(Family) 분류
- 2.1.1. 한련과(Tropaeolaceae)
- 2.1.2. 아카니아과(Akaniaceae)
- 2.1.3. 파파야과(Caricaceae)
- 2.1.4. 모링가과(Moringaceae)
- 2.1.5. 림난테스과(Limnanthaceae)
- 2.1.6. 세트켈란투스과(Setchellanthaceae)
- 2.1.7. 코이베를리니아과(Koeberliniaceae)
- 2.1.8. 살바도라과(Salvadoraceae)
- 2.1.9. 기로스테몬과(Gyrostemonaceae)
- 2.1.10. 보스윅키아과(Borthwickiaceae)
- 2.1.11. 레세다과(Resedaceae)
- 2.1.12. 스틱시스과(Stixaceae)
- 2.1.13. 엠블링기아과(Emblingiaceae)
- 2.1.14. 토바리아과(Tovariaceae)
- 2.1.15. 펜타디플란드라과(Pentadiplandraceae)
- 2.1.16. 카파리스과(Capparaceae)
- 2.1.17. 풍접초과(Cleomaceae)
- 2.1.18. 배추과(Brassicaceae)
- 2.1. 십자화목 내 과(Family) 분류
- 참조
1. 개요
세트켈란투스 카에룰레우스는 십자화목에 속하는 세트켈란투스과의 식물이다. 2016년 연구에 따르면, 세트켈란투스과는 림난테스과와 자매군이며, 코이베를리니아과, 살바도라과 등과 가까운 관계를 갖는다. 십자화목 내에는 한련과, 모링가과, 레세다과, 엠블링기아과, 펜타디플란드라과, 배추과 등이 포함된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멕시코의 고유종 식물 - 다알리아
다알리아는 중앙 아메리카 원산의 여러해살이풀로, 다양한 색상과 형태의 머리모양꽃차례를 피우는 관상용 식물이며, 멕시코의 문화적 상징이자 토양 정화 및 약용으로도 사용되고, 대한민국에는 일제강점기 시절에 들어와 전국 각지에서 재배된다. - 제목이 라틴어 학명인 문서 - 호모 에렉투스
호모 에렉투스는 약 200만 년 전부터 10만 년 전까지 생존하며 직립 보행을 하고 아슐리안 석기를 제작했으며 불을 사용한 최초의 인류로 추정되는 종이다. - 제목이 라틴어 학명인 문서 - 인디고페라 틴토리아
인디고페라 틴토리아는 열대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분포하며 인디고 염료의 원료로 재배되는 1~2m 높이의 관목으로, 밝은 녹색 잎과 분홍색 또는 보라색 꽃이 피고, 짙은 청색을 내는 천연 염료를 제공하며, 토양 개량 피복 작물 및 역사적으로 중요한 염료 식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.
세트켈란투스 카에룰레우스 - [생물]에 관한 문서 | |
---|---|
기본 정보 | |
과 | 세트켈란투스과(Setchellanthaceae) |
과 명명자 | Iltis |
속 | 세트켈란투스속(Setchellanthus) |
속 명명자 | Brandegee |
종 | 세트켈란투스 카에룰레우스 (S. caeruleus) |
종 명명자 | Brandegee |
2. 계통 분류
2016년 6월, 썬 등(Sun et al.)의 연구에 따른 십자화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.[4]
십자화목에는 여러 과(Family)들이 있으며, 이들은 서로 가까운 관계를 맺고 있다. 예를 들어, 한련과와 아카니아과, 파파야과와 모링가과는 서로 자매군이며, 세트켈란투스과는 림난테스과와 자매군이다.
2. 1. 십자화목 내 과(Family) 분류
2016년 6월, 썬 등(Sun et al.)의 연구에 따르면 십자화목은 다음과 같은 과(Family)들로 분류된다.[4]
2. 1. 1. 한련과(Tropaeolaceae)
2016년 6월, 썬 등(Sun et al.)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 십자화목 내에서 한련과는 아카니아과와 자매군이다.[4]2. 1. 2. 아카니아과(Akaniaceae)
2016년 6월, 썬 등(Sun et al.)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, 아카니아과는 한련과와 자매군이다.[4]2. 1. 3. 파파야과(Caricaceae)
2016년 6월, 썬 등(Sun et al.)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, 파파야과는 모링가과와 자매군이다.[4]2. 1. 4. 모링가과(Moringaceae)
2016년 6월, 썬 등(Sun et al.)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 모링가과는 파파야과와 자매군이다.[4]2. 1. 5. 림난테스과(Limnanthaceae)
Limnanthaceae영어는 십자화목에 속하는 속씨식물 과의 하나이다. 2016년 6월, 썬 등(Sun et al.)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 세트켈란투스과의 자매군이다.[4]2. 1. 6. 세트켈란투스과(Setchellanthaceae)
2016년 6월, 썬 등(Sun et al.)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, 세트켈란투스과는 십자화목에 속하며, 림난테스과와 자매군이다.[4]2. 1. 7. 코이베를리니아과(Koeberliniaceae)
다음은 2016년 6월, 썬 등(Sun et al.)의 계통 분류이다.[4]{| class="wikitable"
|-
! 십자화목 내 과의 계통 분류
|-
|
한련과 |
아카니아과 |
파파야과 |
모링가과 |
림난테스과 |
세트켈란투스과 |
코이베를리니아과 |
---|
살바도라과 |
Batis maritima |
Azima tetracantha |
기로스테몬과 |
(보스윅키아과) |
레세다과 |
(스틱시스과) |
엠블링기아과 |
토바리아과 |
펜타디플란드라과 |
카파리스과 |
풍접초과 |
배추과 |
|}
2. 1. 8. 살바도라과(Salvadoraceae)
2016년 6월, 썬 등(Sun et al.)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 살바도라과는 세트켈란투스과, 코이베를리니아과 등과 함께 분류된다.[4]2. 1. 9. 기로스테몬과(Gyrostemonaceae)
2016년 6월, 썬 등(Sun et al.)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 십자화목 내에서 기로스테몬과는 보스윅키아과, 레세다과, 스틱시스과 등과 자매군이다.[4]2. 1. 10. 보스윅키아과(Borthwickiaceae)
2016년 6월, 썬 등(Sun et al.)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, 보스윅키아과는 기로스테몬과, 레세다과, 스틱시스과와 함께 분류된다.[4]2. 1. 11. 레세다과(Resedaceae)
레세다과는 2016년 6월 썬 등(Sun et al.)의 계통 분류에서 스틱시스과와 자매군을 이루는 과이다.[4]2. 1. 12. 스틱시스과(Stixaceae)
2016년 6월, 썬 등(Sun et al.)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, 스틱시스과는 레세다과와 (보스윅키아과+기로스테몬과)와 함께 분지군을 형성한다.[4]2. 1. 13. 엠블링기아과(Emblingiaceae)
Emblingiaceae영어는 십자화목에 속하는 과이다. 2016년 6월, 썬 등(Sun et al.)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, 엠블링기아과는 토바리아과와 자매군이며, 이 둘은 다시 펜타디플란드라과, 카파리스과, 풍접초과, 배추과와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.[4]2. 1. 14. 토바리아과(Tovariaceae)
2016년 6월, 썬 등(Sun et al.)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, 토바리아과는 엠블링기아과와 자매군이다.[4]2. 1. 15. 펜타디플란드라과(Pentadiplandraceae)
2016년 6월, 썬 등(Sun et al.)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, 펜타디플란드라과는 십자화목에 속하며, 카파리스과, 풍접초과, 배추과와 자매군이다.[4]2. 1. 16. 카파리스과(Capparaceae)
2016년 6월, 썬 등(Sun et al.)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, 카파리스과는 펜타디플란드라과, 풍접초과, 배추과와 자매군이다.[4]2. 1. 17. 풍접초과(Cleomaceae)
2016년 6월, 썬 등(Sun et al.)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,[4] 풍접초과는 카파리스과, 배추과와 자매군이다.2. 1. 18. 배추과(Brassicaceae)
2016년 6월, 썬 등(Sun et al.)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, 배추과는 십자화목에 속하며, 풍접초과, 카파리스과, 펜타디플란드라과 등과 가까운 관계를 갖는다.[4]참조
[1]
웹사이트
"''Setchellanthus'' Brandegee ! Plants of the World Online ! Kew Science"
https://powo.science[...]
2022-10-24
[2]
서적
Eine Enzyklopädie zu eponymischen Pflanzennamen
https://doi.org/10.3[...]
Botanic Garden and Botanical Museum, Freie Universität Berlin
2022-01-27
[3]
서적
The Names of Plants
https://books.google[...]
[4]
논문
Phylogeny of the Rosidae : A dense taxon sampling analysis
https://www.research[...]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